[블록미디어] 이더리움(ETH) 네트워크의 거래 순서와 블록 구성 방식에 대한 논의가 커지는 가운데, 벤처 투자사 패러다임(Paradigm)이 MEV(Maximal Extractable Value)를 옹호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패러다임은 최근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커미셔너 헤스터 피어스(헤스터 피어스)가 제시한 48개 질문에 대한 응답 형태로 보고서를 작성하며, MEV가 자율적이고 기술 기반의 해결 과정을 통해 충분히 해소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패러다임은 MEV를 블록체인 시스템 내 경제적 인센티브의 산물로 정의하며, 특정 행위가 시장 조작이나 내부자 거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MEV가 블록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수수료 급등과 정체 현상을 완화하는 수단이 된다고 덧붙였다.
MEV는 원래 이더리움 작업증명(PoW) 시절 마이너 추출 가치에서 출발했다. 이후 이더리움이 지분증명(PoS) 체계로 전환하면서 MEV는 최대 추출 가치로 개념이 확장됐다. 패러다임은 이 구조가 중앙화 없이 거래 순서를 결정하는 효율적 시스템이라며, 블록 제작을 경쟁 기반의 시장으로 바꾸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탈중앙 거래소 간 차익거래 △대출 프로토콜의 청산 △프론트런 및 샌드위치 공격 등 여러 형태의 MEV를 분석했다. 패러다임은 특히 차익거래 형태의 MEV가 전체 MEV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가격 왜곡을 해소하는 데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샌드위치 공격 등 일부 MEV는 사용자에게 불리할 수 있지만, 패러다임은 기술 발전이 이러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고 봤다.
패러다임은 MEV를 증권 사기, 내부자 거래, 최선집행 위반으로 보는 일부 우려에 대해 반박했다. MEV는 공개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경제 행위라는 주장이다. 또한, 탈중앙성과 사용자 접근성 확보를 위해 MEV의 존재 자체보다는 그 대응 방안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패러다임은 규제가 MEV 생태계의 자율적 발전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며, SEC에 기술 중립적이고 혁신을 촉진하는 방향의 원칙 중심 규제를 제안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2일, 09:56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