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대중 관세 인하 검토” 보도
백악관, “일방적인 관세 인하 없다”
[블록미디어 이정화 기자] 미국과 중국 간 100%가 넘는 고율 관세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인식이 양국에 공유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23일(현지 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국제금융연구소(IIF) 주최 행사 후 기자들과 만나 “미중 양국 모두 현재의 고율 관세가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란 점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양국 간 무역 단절은 양국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긴장 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발언은 전날 JP모건 투자자 회의에서 그가 언급한 ‘무역 전쟁 완화’ 가능성에 대한 해석에 따른 질의에서 나왔다. 미국의 대중국 관세율은 평균 145%, 중국의 대미 관세율은 125%에 달한다. 베선트 장관은 이 같은 수준은 조정되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관세를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 덧붙였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일부 품목에 대해 대중국 관세를 절반으로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베선트 장관은 “그런 논의가 진행된다 해도 놀랍지 않다”며 “상호적인 조정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중국 수입품에 대한 일방적 인하 조치는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과 공정한 합의를 만들고 있다”며 협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베선트 장관은 “중국과의 공식 협상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인도와의 통상 협상이 막바지에 와 있으며, 다른 국가들과의 논의도 수년이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 전망했다. 일본과의 협상에 대해선 구체적 환율 목표는 없으며, 일본이 주요 7개국(G7) 협정을 준수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과는 워싱턴 현지에서 이틀 간 무역 문제를 놓고 협의를 벌일 예정이다.
그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최종 명확성은 올해 3분기쯤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으로 미국 성장률을 1.8%로 하향 조정한 데 대해선 “성장률은 에너지 확대 정책으로 3%까지 올라갈 것”이라며 “감세법안은 7월 4일 이전에 처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